잘 모르는 입장에서 하나씩 써보면서 익혀볼란다.
개요
Spring은 JVM위에 돌아가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가벼운 framework라고 한다. Spring에는 아주 많은 프로젝트(제품군?)이 있는데 그 중에 boot는 Spring의 복잡한 설정을 간편하게 해주기 위해 나왔다고 한다. 애당초 스프링은 셋업이 되어있는 환경에 모듈 개발을 주로 해서 비교는 아직 잘….
개발 도구
Eclipse와 IntelliJ IDEA를 사용 하는 방법이 있다. Eclipse 기반의 환경을 사용 하려면,
속편하게 STS를 사용 하는 것이 편하고, tool도 가벼워져서 좋을 것 같다.(eclipse에 플러그인을 추가하면 eclipse가 참 무거워진다…)
src/
main/
java/ -> 여기에 실제 코드가 들어간다.
resources/ -> 여기에 설정 파일들이 들어간다.
test/
java/ -> 테스트 코드를 작성 한다.
build.gradle -> 프로젝트 설정 파일. maven의 경우 pom.xml
- eclipse에 spring plugin을 설치 하는 방법이 있고,
- STS를 검색 해서 Spring Tool Suite 를 설치 하는 방법이 있다.
속편하게 STS를 사용 하는 것이 편하고, tool도 가벼워져서 좋을 것 같다.(eclipse에 플러그인을 추가하면 eclipse가 참 무거워진다…)
파일 구조
보통 구조는 다음과 같다src/
main/
java/ -> 여기에 실제 코드가 들어간다.
resources/ -> 여기에 설정 파일들이 들어간다.
test/
java/ -> 테스트 코드를 작성 한다.
build.gradle -> 프로젝트 설정 파일. maven의 경우 pom.xml
프로젝트 설정
설정을 gradle로 할 수도 있고 maven으로 할 수도 있는데, 지금 시점에 개발을 할 거라면 gradle을 쓰는 것이 장기적으로 좋지 않을까 싶다.build.gradle 작성 예시(gradle 사용법은 알아서 공부)
buildscript {
ext {
springBootVersion = '1.3.5.RELEASE'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classpath("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springBootVersion}")
}
}
apply plugin: 'java'
apply plugin: 'idea' // eclipse를 사용 하고 싶다면 idea 대신 eclipse로 변경
apply plugin: 'spring-boot'
jar {
baseName = 'exmaple' // 프로젝트 이름
version = '0.0.1-SNAPSHOT'
}
// java 1.8을 쓴다는 의미
sourceCompatibility = 1.8
targetCompatibility = 1.8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 web이나 rest api 서비스를 만들거라면..
compile('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 test 시에 사용할 라이브러리
testCompile('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바로가기
목차 : 0. 목차
이전 : 0. 목차
다음 : 2. 서비스 구성에 관한 이야기
댓글
댓글 쓰기